Technology/Computer31 유니티 : 씬을 옮겨도 UI가 없어지지 않게 하는법 유니티에서 씬이 전환되더라도 동일한 UI를 유지하려면, DontDestroyOnLoad 메서드를 사용하여 특정 UI 오브젝트가 씬 전환 시 제거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구현 방법입니다:1. UI 오브젝트를 포함한 프리팹 만들기UI를 원하는 대로 디자인한 후, 이를 하나의 게임 오브젝트(예: Canvas)에 포함시킵니다.이 UI 오브젝트를 프리팹으로 저장합니다.2. 스크립트로 DontDestroyOnLoad 설정UI 오브젝트가 씬 전환 시 파괴되지 않도록 스크립트를 추가합니다.using UnityEngine;public class PersistentUI : MonoBehaviour{ private static PersistentUI instance; private void Awa.. 2024. 12. 24. UNITY 게임 빌드에는 persistentdatapath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streamingAssets 폴더에 넣어서 배포시 복제하도록 해야한다 Unity에서 Application.persistentDataPath에 저장된 데이터는 빌드 과정에서 포함되지 않습니다. persistentDataPath는 게임이 실행된 후 플레이어의 로컬 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로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주로 저장 데이터, 설정 파일, 다운로드한 콘텐츠 등 런타임에 생성되거나 수정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렉터리입니다.중요한 점:persistentDataPath는 읽기-쓰기 가능한 디렉터리입니다.게임 빌드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게임 실행 중 이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습니다.빌드 과정에서 포함하려는 데이터는 Resources 폴더 또는 StreamingAssets 폴더에 넣어야 합니다.추천 방법:만약 persistentDataPath에 .. 2024. 12. 24. Unity에서 SO와 JSON의 동시 활용 (퀘스트 만들때) ScriptableObject(SO)와 JSON을 조합해서 퀘스트 데이터를 관리하면, SO의 편리한 관리 기능과 JSON의 동적 업데이트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퀘스트 데이터를 외부 JSON 파일로 저장해 두고, 이 데이터를 SO로 불러와 사용하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1. JSON과 ScriptableObject 조합: 기본 개념ScriptableObject: 게임이 실행되는 동안 퀘스트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관리.JSON: 퀘스트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업데이트하거나 로드.병합 방식: JSON 데이터를 SO에 반영하거나 SO 데이터를 JSON 파일로 저장.2. JSON 파일 구조JSON 파일을 다음과 같이 설계합니다. 퀘스트 데이터를 리스트 형태로 관리합니다.[ { .. 2024. 12. 23.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