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cience

달의 생성에 대한 가설들, 달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대충 돌로 만들어져

by re-moon 2025. 2. 20.

 

달의 미스터리

 

 

저는 달을 아주 좋아합니다. 달을 보고있으면 마음이 편안해져요. 초승달이든, 반달이든, 보름달이든 다 그 phase만의 특징들도 다 좋아요. 밤에는 달이 있어서 참 좋다는 생각이 듭니다. 만약 우리 지구에 달이 없었으면, 정말 외로웠을것 같아요.

 

이런 달이 어떻게 생겨났을까? 문득 궁금해져서 찾아보았습니다.

 

🌕 달의 생성에 대한 가설들

달(Moon)의 기원은 오랜 시간 동안 논쟁과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현재까지 여러 가지 가설이 제시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각 가설을 자세히 설명하고, 그에 대한 증거와 문제점도 함께 정리하겠습니다.

 

 

 


1. 거대 충돌 가설 (Giant Impact Hypothesis, Theia Hypothesis)

🏛 가설 개요

  • 현재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로, 약 45억 년 전 화성 크기의 원시 행성 **테이아(Theia)**가 원시 지구와 충돌하면서 형성되었다는 이론입니다.
  • 충돌로 인해 지구와 Theia의 일부가 증발하고, 그 잔해가 지구 주위를 돌면서 결국 뭉쳐 달이 되었다는 설명입니다.

🔬 증거

  1. 지구와 달의 조성 유사성
    • 달의 암석 조성을 분석한 결과, 달과 지구의 맨틀 성분이 매우 유사합니다.
    • 특히 산소 동위원소 비율이 거의 동일한데, 이는 같은 원료 물질에서 형성되었음을 시사합니다.
  2. 달의 상대적으로 낮은 철 함량
    • 지구는 내부에 무거운 금속(철, 니켈)이 중심부로 가라앉았지만, 달에는 상대적으로 금속 함량이 적습니다.
    • 이는 충돌 후 지구의 맨틀 물질(비금속 성분 위주)이 모여 달이 형성되었음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3. 지구와 달의 공전 운동
    • 달의 공전 궤도와 자전 속도는 충돌 후 형성된 천체의 운동 특성과 잘 맞아떨어집니다.

⚠️ 문제점

  • 초기 가설에서는 Theia의 물질이 주로 달을 형성해야 하지만, 실제로 달의 성분은 지구와 매우 유사합니다.
  • 최근 연구에서는 Theia가 지구와 성분이 거의 동일한 행성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여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습니다.

 

 

 

2. 동시 형성 가설 (Co-formation Hypothesis, Double Planet Hypothesis)

🏛 가설 개요

  • 지구와 달이 원시 태양계 원반에서 동시에 형성되었다는 이론입니다.
  • 태양계 초기 원반에서 물질이 뭉쳐 행성들이 형성되었고, 지구와 달도 같은 시기에 같은 장소에서 만들어졌다는 설명입니다.

🔬 증거

  1. 지구와 달의 유사한 조성
    • 같은 장소에서 만들어졌다면, 유사한 원소 조성을 가지는 것이 당연합니다.

⚠️ 문제점

  • 동시 형성이었다면, **달의 조성이 지구와 거의 동일해야 하지만, 일부 미묘한 차이(특히 휘발성 원소 부족)**가 존재합니다.
  • 지구와 달의 상대적 질량 차이, 현재 달의 공전 궤도를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3. 포획 가설 (Capture Hypothesis)

🏛 가설 개요

  • 달이 원래 지구의 위성이 아니라 다른 곳에서 형성되었다가 지구의 중력에 의해 포획되었다는 가설입니다.
  • 어떤 천체(소행성 또는 미행성체)가 태양계에서 떠돌다가 지구의 중력에 의해 붙잡혀 현재의 달이 되었다는 설명입니다.

🔬 증거

  1. 태양계에서 위성이 포획된 사례 존재
    • 예를 들어, 화성의 두 위성(포보스, 데이모스)은 포획된 소행성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목성과 토성의 몇몇 위성도 포획된 천체로 보입니다.

⚠️ 문제점

  • 지구와 달의 질량 차이로 인해 단순한 중력 포획만으로 현재의 안정적인 공전 궤도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 달의 조성이 지구와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 일반적으로 포획된 위성은 불규칙한 궤도를 가지지만, 달은 매우 안정적인 공전 궤도를 가지고 있음.

 

 

 

4. 분열 가설 (Fission Hypothesis)

🏛 가설 개요

  • 원시 지구가 빠르게 회전하던 중 일부 물질이 튀어나가면서 달이 형성되었다는 가설입니다.
  • 지구 맨틀의 일부가 분리되면서 달이 생성되었다는 설명입니다.

🔬 증거

  1. 지구와 달의 비슷한 구성
    • 특히 달의 조성이 지구 맨틀과 유사하므로, 맨틀 일부가 떨어져 나갔다면 설명이 가능합니다.
  2. 태평양 분지 가설
    • 과거 일부 과학자들은 태평양이 지구에서 달이 떨어져 나간 흔적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 문제점

  • 현대 과학적으로 지구의 회전 속도만으로는 충분한 분열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 태평양 분지와 관련된 이론은 현재 기각된 상태이며, 이는 판구조 운동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5. 다중 충돌 가설 (Multiple Impact Hypothesis)

🏛 가설 개요

  • 단일 충돌이 아니라 여러 차례 작은 충돌들이 누적되면서 달이 형성되었다는 가설입니다.
  • 초기 태양계에서 소행성과 원시 행성들이 지속적으로 지구와 충돌하며 달을 형성할 물질을 공급했을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 증거

  1. 거대 충돌 가설의 변형
    • 일부 연구에서는 단일 충돌이 아니라 여러 번의 작은 충돌이 비슷한 과정을 거쳤을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음.
  2. 달의 크기와 조성을 보다 정교하게 설명 가능
    • 여러 충돌이 발생하면 다양한 물질이 혼합될 수 있으므로, 현재 달의 성분을 좀 더 유연하게 설명할 수 있음.

⚠️ 문제점

  • 지구 주변에서 형성된 파편이 다시 하나로 합쳐지는 과정이 정확히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완전히 설명하기 어려움.

결론: 현재 가장 유력한 가설

  • 거대 충돌 가설(Giant Impact Hypothesis)이 현재 과학계에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여러 증거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되고 있음.
  • 하지만 이 가설도 일부 미해결된 문제들이 남아 있어, 최근에는 다중 충돌 가설을 결합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음.

🔥 최신 연구 동향

  • 최근 연구에서는 Theia가 단순한 충돌체가 아니라, 지구와 유사한 성분을 가진 원시 행성이었을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음.
  •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충돌 후 남은 잔해들이 점차 하나로 합쳐지며 달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음.

이처럼 달의 기원은 여전히 연구가 진행 중이며, 향후 더 정밀한 시뮬레이션과 우주 탐사 데이터를 통해 보다 확실한 결론이 도출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