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physics

시간에 대한 가장 권위 있는 이론 : 블록 우주론, 그리고 그에 대한 반박

re-moon 2025. 4. 23. 11:19

 

 

 

미래는 이미 존재한다?


 

"지금의 나는 당신의 과거일 수도, 미래일 수도 있다."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 1. 🧠 가장 권위 있는 시간 이론: 블록 우주론 (Block Universe Theory)

💡 핵심 주장: 과거, 현재, 미래는 모두 실재하며,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이 이론은 어디에 근거하는가?

  • 특수상대성이론(Special Relativity):
    • 동시성의 상대성 → 어떤 사건이 "지금" 일어났다는 것은 관찰자마다 다를 수 있음
  • 일반상대성이론(General Relativity):
    • 시공간은 동적이고 휘어진 4차원 구조체
  • 이 모든 것을 종합하면,
  • 시간은 마치 공간처럼 ‘이미 펼쳐진 하나의 차원’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됨.

 

 


📘 왜 블록 우주론이 가장 지지를 받는가?

요소 내용

🧪 실험적 검증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수천 번 이상 검증됨 (GPS 시스템, 입자 가속기 등)
🧠 철학적 일관성 시간이 ‘지나간다’는 개념은 상대성 이론과 모순됨 → 시간은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 존재하는 것
⏳ 대체 이론의 부재 열역학이나 양자역학이 시간의 흐름을 설명하려 하나, 궁극적 모델로 자리잡진 못함
📊 물리학 커뮤니티 내 지지도 블록 우주론은 물리학자 다수(특히 일반상대론/시공간론 분야)에게서 가장 보편적으로 수용되는 시각

🚫 주의할 점: "시간이 흐른다"는 개념은 인간 뇌의 인지 구조일 가능성이 높음

 

 

  • 심리적 현재물리적 현재는 다른 개념임
  • 물리학에는 객관적인 현재(now)가 존재하지 않음

 

우리는 이미 존재하는 시간을 통과해 가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시간이 흐른다고 '느끼는'것이지 실제 시간은 흐르는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것이다.

 

즉 우주라는 책은 이미 쓰여져 있고, 인간의 뇌는 그것을 읽어내면서 시간의 따른 흐름을 느낄 뿐이다

 


📚 권위 있는 이론의 대표 학자/논문

이름 관련 내용

에인슈타인 (Einstein) "시간은 환상이다, 그리 유용한 것조차 아닌 환상이다"라는 말을 남김
Hermann Minkowski 1908년: "시간과 공간은 더 이상 별개의 것이 아니라 하나의 통합된 실체인 시공간이다"
Brian Greene (《The Fabric of the Cosmos》) 대중과 학계를 아우르는 권위 있는 설명으로 블록 우주론을 강력하게 옹호
Carlo Rovelli (《The Order of Time》) 양자중력이론에서도 시간은 본질이 아닌 emergent 현상이라고 주장

 

 

🔚 결론:

현대 물리학에서 시간에 관한 가장 권위 있고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블록 우주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시간은 흐르지 않으며, 과거·현재·미래는 모두 존재하는 실체다. 우리가 "지금"을 경험한다고 느끼는 것은 뇌의 인지 구조에서 비롯된 착각일 가능성이 크다.


 

 

 

🔥 블록 우주론에 대한 반대 입장 요약

구분 반대 관점 대표 주장

🧠 인지철학적 시간은 "흐른다"는 것이 직관적 경험이며, 블록 우주는 인간 경험을 무시함  
물리이론적 열역학적 시간 방향, 양자역학의 측정 등은 "현재"와 "미래"가 비대칭임을 보여줌  
🌀 우주론적/양자중력이론 시간은 emergent(창발적)한 성질이며, 블록 우주의 고정성은 불완전한 가설일 뿐  

1. 🧠 인지철학적 반대: 인간 경험을 무시한다

주장:

"우리는 명확히 '지금'을 경험하고, 시간은 흐른다고 느낀다. 블록 우주는 이 명백한 의식의 흐름을 설명하지 못한다."

주요 인물:

  • William James: "Specious Present" 개념 제안 → 우리가 느끼는 '지금'은 연속된 순간의 일부
  • Galilean Relationalism 지지자들: 시간은 ‘관계적(relational)’으로만 존재한다고 봄

문제 제기:

  • 블록 우주론은 모든 시간이 "이미 존재"한다고 말하지만, 왜 우리는 그 중 특정 순간만을 ‘현재’라고 경험하는가?
  • 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은 블록 우주 안에선 설명이 안 됨

2. ⏳ 열역학 & 정보론 기반의 반대

핵심:

"자연은 시간에 대한 방향성을 갖는다. 이것이 블록 우주의 '고정성' 개념과 모순된다."

근거:

  • 제2법칙: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 시간의 비가역성(irreversibility)
  • 정보 소실(information loss): 블랙홀이나 측정 과정에서 시간은 한쪽 방향으로만 작동함
  • 코스모스의 초기조건: 우주는 낮은 엔트로피에서 시작 → 점점 복잡해지는 과정은 방향성이 있다는 증거

반박 요지:

  • 블록 우주는 시간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음.
    현실 세계에서는 ‘미래’가 열려 있고, ‘과거’는 닫혀 있음.

3. 🌀 양자역학과 중력이론의 반대 시각

3.1. 양자 측정 문제

  • 블록 우주는 결정론적이지만, 양자역학은 비결정적이다.
  • 측정은 "파동함수 붕괴"를 수반하며, 이는 미래가 고정되어 있지 않음을 시사

3.2. 시간의 창발적 특성 (Emergent Time)

  • Carlo Rovelli (Loop Quantum Gravity):
    시간은 근본적 실체가 아니라, 상호작용으로부터 생성되는 '관계성'이다.
  • 블록 우주는 시간과 공간을 고정된 4차원 덩어리로 취급하지만,
    양자 중력이론은 그것조차 고전적 환상일 수 있음을 지적

4. 🚪 “Open Future” 철학자들의 반론

  • Presentism (현재론):
    • 오직 "현재"만 존재하고, 과거는 사라졌으며, 미래는 존재하지 않음
    • "미래의 사건은 아직 일어나지 않았으므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명제는 직관적으로 납득됨
  • Growing Block Universe (성장하는 블록 우주):
    • 과거와 현재는 존재하지만, 미래는 아직 존재하지 않음
    • 시간이 흐를수록 블록 우주는 ‘성장’함

🔍 요약 정리: 블록 우주론 반대 이유 TOP 5

항목 반론 요지

1️⃣ 인간의 의식 흐름은 단일 "현재"를 경험하며, 블록 우주는 이를 설명하지 못함
2️⃣ 엔트로피 증가열역학적 시간 화살은 시간에 명확한 방향성을 부여
3️⃣ 양자 측정은 미래가 확정되어 있지 않음을 시사 → 결정론과 충돌
4️⃣ 창발적 시간론은 시간조차도 고정된 실체가 아님을 제안
5️⃣ 철학적으로, 오직 현재만 존재하거나, 블록이 "성장"한다는 대안 이론도 설득력 있음

📚 더 깊이 읽고 싶다면 추천 학자와 저서

학자 주요 주장 저서/논문

Carlo Rovelli 시간은 emergent하다 《The Order of Time》
George Ellis 블록 우주 반대, 성장 블록 우주 지지 《On the Flow of Time》 논문
Lee Smolin 시간은 절대적이고 실재하는 것이다 《Time Reborn》
Tim Maudlin Presentism 및 시간의 본질 비판 《The Metaphysics Within Physics》

✅ 결론

블록 우주론은 여전히 가장 널리 수용되는 물리학적 시간 이론이지만,
이에 반대하는 입장은:

 

  • 인지적 현실,
  • 열역학적 화살,
  • 양자 불확정성,
  • 미래의 개방성,
  • 시간의 창발적 성질 등을 근거로,
    “시간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흐르고 진화하는 실재이다”라고 주장합니다.